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생각

가스라이팅하는 부모

by leewookim 2023. 6. 10.
반응형

+ 가스라이팅하는 부모의 유형

  1. 감정적인 가스라이팅: 부모가 자녀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비하하며 자녀를 감정적으로 흔들어 놓는 경우입니다. 자녀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믿지 않는다고 말하며, 자녀의 감정을 부정하거나 비난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2. 인식적인 가스라이팅: 부모가 자녀의 인식, 기억, 혹은 현실적인 경험을 왜곡하거나 부정하는 경우입니다. 자녀의 인식이나 기억을 왜곡하거나 부정적인 경험을 감추고 부정하는 행위가 이에 해당합니다.
  3. 소송적인 가스라이팅: 부모가 자녀를 상대로 자신의 행동이나 말에 대한 부분적인 사실을 흩어진 상태로 제시하거나 왜곡하여 자녀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경우입니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거나 책임을 회피하며, 자녀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4. 인간관계적인 가스라이팅: 부모가 자녀의 인간관계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자신의 편견이나 통제력을 가하려는 경우입니다. 부모가 자녀의 친구들과의 교류를 제한하거나 비하하는 등의 행위가 이에 해당합니다.

 

+ 긍정적인 가스라이팅도 있을까?

일반적으로 "가스라이팅"은 부정적인 행위를 의미하며, 상대방을 속이고 조작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따라서 긍정적인 가스라이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가스라이팅은 상대방의 자아를 훼손하고 제어하기 위한 부정적인 행위로, 상대방에게 해를 입히거나 정상적인 인간관계를 위협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가끔씩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를 오해하고, 긍정적인 의도로 상대방을 격려하거나 자신의 실력을 인정해주는 행위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오용된 용어 사용이며, 실제로는 격려, 칭찬, 인정 등의 긍정적인 행동으로 분류됩니다.

중요한 점은 가스라이팅은 자기 자신에 대한 통제와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대방을 조작하는 부정적인 행동이라는 점입니다. 상대방을 존중하고 지지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건강한 인간관계의 일부입니다.

 

 

+가스라이팅하는 부모가 되지 않기 위한 대화법

  1. 존중과 이해: 자녀의 감정과 관점을 존중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자녀가 표현하는 감정을 경청하고,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자신의 의견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개방적인 대화: 자녀와 개방적인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녀에게 언제든지 이야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자녀의 의견을 듣고 이를 공감하며 대화를 이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비판 대신 지원: 자녀에게 비판이 아닌 지원과 격려를 제공해야 합니다. 자녀의 노력과 성과를 인정하고, 필요한 도움이나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녀를 비하하거나 자책감을 주는 대신, 도움을 주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4. 예의와 존중: 대화할 때 예의를 갖추고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상호간의 존중과 예의는 건강한 대화를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존중과 이해를 보여주며, 갈등이나 갈취적인 태도를 피해야 합니다.
  5. 문제 해결과 협력: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자녀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갖추어야 합니다. 자녀와 협력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자녀의 참여를 장려하고, 상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