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생각

편식하는 아이와 좋은 교육 방법

by leewookim 2023. 7. 23.
반응형

+ 골고루 잘 먹는아이의 특징

  1. 호기심과 개방성: 골고루 잘 먹는 아이들은 음식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는 것을 즐깁니다. 신선한 음식이나 다양한 요리에 대해 개방적이며, 새로운 맛과 향에 관심을 가집니다.
  2. 적극성과 유연성: 이 아이들은 다양한 음식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며, 음식의 종류에 유연하게 대처합니다. 특정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적고, 유연하게 다양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3. 배움과 경험: 이 아이들은 음식에 대한 배움과 경험을 즐깁니다. 부모나 가족으로부터 음식과 영양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다양한 음식을 경험하며 자연스럽게 즐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4. 재미와 창의성: 골고루 잘 먹는 아이들은 음식을 즐길 때 재미와 창의성을 발휘합니다. 음식을 시각적으로 재미있게 표현하거나, 자신만의 방법으로 음식을 섭취하는 등 창의적인 방법으로 음식을 즐깁니다.
  5. 가정환경과 영향: 이러한 특성은 가정 환경과 부모의 영향력에 크게 의존할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고, 긍정적인 음식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골고루 잘 먹는 아이들을 육성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 편식하는 아이들의 특징

  1. 선택적 식사: 편식하는 아이들은 특정 음식을 선택적으로 먹거나 다른 음식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정 음식만을 선호하거나 반대로 특정 음식을 결코 먹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식사 거부: 편식하는 아이들은 식사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음식을 보거나 냄새를 맡으면 거부하는 반응을 보일 수 있으며, 음식을 입에 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 식사 시간의 연장: 편식하는 아이들은 식사 시간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특정 음식을 먹지 않거나 다른 음식을 찾기 위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식사 시간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4. 영양 부족: 편식하는 아이들은 다양한 음식을 거부하거나 섭취하지 않기 때문에 영양 부족의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영양소를 제공하는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지 않으면 필수 영양소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5. 냉소적 태도: 편식하는 아이들은 새로운 음식이나 다양한 음식에 대해 냉소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지 않으려고 하거나 새로운 음식에 대해 거부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편식하는 아이가 되는 이유

  1. 맛과 선호도: 아이들은 특정 음식의 맛이나 선호도에 따라 음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정 음식을 좋아하지 않거나, 다른 음식을 선호하여 다른 음식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2. 냄새와 질감: 음식의 냄새나 질감에 민감한 아이들은 특정 음식을 먹기를 꺼려할 수 있습니다. 냄새나 질감이 아이의 식사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새로운 음식과 불안: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습니다.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면 맛이 좋지 않을까 걱정할 수 있습니다.
  4. 통제와 자아 확립: 아이들은 식사를 통해 자신을 통제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정 음식을 먹거나 거부함으로써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자아 확립의 일부로 볼 수 있습니다.
  5. 반복적인 경험: 아이들은 특정 음식을 반복적으로 먹는 경험으로 편식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음식의 반복적인 제공이나 특정 음식에 의한 보상 체계가 편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6. 감정적 요인: 감정적인 요인도 아이들의 식사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의 감정적인 요인이 아이들의 식사 습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편식하지 않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

  1. 다양한 음식 제공: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아이에게 제공하여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합니다. 채소, 과일, 단백질, 탄수화물 등 다양한 음식군을 포함하는 식단을 구성해주세요.
  2. 긍정적인 모델링: 부모와 가족들이 다양한 음식을 즐기고 섭취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자연스럽게 다양한 음식을 시도하고 섭취함으로써 아이들이 음식에 대해 더욱 개방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3. 자유로운 선택: 아이들에게 식사 시간에 음식을 스스로 선택하도록 허용해주세요. 자유롭게 음식을 선택하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재미있는 음식 경험: 음식을 즐겁게 만들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제공해주세요. 예를 들어, 아이와 함께 요리하는 활동이나 창의적인 음식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음식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강요하지 않기: 강요적인 방식으로 음식을 강제로 먹게 하지 말고, 부드럽게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강요적인 접근은 아이들의 반발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편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6. 즐거운 식사 분위기: 식사 시간을 즐거운 분위기로 만들어주세요. 가족들과 함께 식사를 즐기고 대화하며 소통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7. 꾸준한 노력과 인내심: 아이들이 음식을 시도하거나 섭취하는 데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고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해주세요.
  8. 전문가와 상담: 만약 아이가 지속적으로 편식을 보이거나 식사가 거부되는 정도가 심각하다면, 의료 전문가나 영양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지원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