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생각

아이가 열등감이 생기게 만드는 대화와 부모로서 열등감을 극복하는 법

by leewookim 2023. 5. 11.
반응형

열등감을 부추기는 대화는 아이의 자아 존중감과 자신감을 훼손시킬 수 있으며, 정서적인 상처를 줄 수 있다. 

열등감을 만드는 대화들의 예를 들어보면, 

 

1. 비교와 경쟁: "네 형제/자매는 더 잘 할 수 있는데 왜 너는 못하지?"와 같이 아이를 다른 사람과 비교하거나 경쟁시키는 대화는 열등감을 유발할 수 있다. 대신 아이 개개인의 성취와 발전을 중심으로 이야기하고, 자신의 노력과 발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 

 

2. 비아냥과 비판: "너는 이런걸 해도 소용없어"나 "왜 그렇게 바보같이 행동하니?"와 같이 비아냥이나 비판적인 말을 사용하는 대화는 아이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 대신 아이의 노력을 인정하고,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지도해주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무시와 냉소: 아이가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표현할 때 무시하거나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는 대화는 아이에게 열등감과 무가치감을 심어줄 수 있다. 대신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진지하게 들어주며 함께 대화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좋다. 

 

4. 비밀스러운 말과 조롱: 아이가 친구나 가족과 관련된 비밀을 이야기할때 조롱하거나 놀리는 대화는 아이의 신뢰와 안전감을 훼손시킬 수 있다. 대신 아이의 비밀을 존중하고 언제든지 이야기할 수 있도록 오픈하고 신뢰하는 대화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부모로서 열등감을 극복하는 방법

1. 자기를 인정하고 수용하기: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부모로서의 역할과 노력을 인정하며 완벽하지 않아도 충분히 좋은 부모라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자기를 비난하거나 자책하지 말고, 자신의 가치와 노력을 인정해 주어야 한다. 

 

2. 개인적인 성취와 취미를 추구하기: 열등감을 극복하려면 부모로서 개인적인 성취와 취미를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만의 관심사나 역량을 발전시키고 성취감을 느끼는 활동을 찾아본다. 이를 통해 자신에 대한 자부심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다. 

 

3. 자기돌봄과 휴식: 부모로서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해 자기돌봄과 휴식이 필요하다. 피로와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은 자신감과 긍정적인 마인드셋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자신을 위한 시간을 가지고 여유를 갖도록 노력해 보아야한다. 

 

4. 지지를 받고 소통하기: 열등감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가족, 친구, 지인들과의 소통과 지지는 중요하다. 자신의 감정과 어려움을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사람들과 공감과 조언을 나누어 본다. 그들의 지지와 격려는 자신감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5. 전문가의 도움찾기: 열등감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상담사나 심리치료사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열등감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고, 필요한 도움과 지도를 받을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