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생각

분리불안과 극복방법

by leewookim 2023. 7. 7.
반응형

+ 분리불안이란

분리불안은 일반적으로 어린이나 동물들이 가족이나 소중한 사람으로부터 멀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에 대한 과도한 불안이나 걱정을 경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일시적인 분리, 예를 들어 부모가 집을 떠나거나 어린이가 학교에 가는 등의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분리불안이 생기는 원인

  1. 개인적인 경험: 과거에 부정적인 경험을 한 경우,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의 갑작스런 이탈, 장기적인 부재, 이주, 이사 등이 분리불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환경적인 변화: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분리불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학교, 새로운 집, 새로운 동물 친구 등이 분리불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가족 구성의 변화: 가족 구성원의 변경이나 가족 내 갈등, 이별, 이주 등은 분리불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성격적인 특성: 어린이나 동물의 성격적인 특성이 분리불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어린이나 동물이 소심하거나 조용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면, 분리불안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사회적 요인: 사회적인 습관이나 문화적인 요인, 타인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분리불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분리불안을 심화시키는 가정환경

  1. 부모의 불안과 걱정: 부모가 자녀가 멀어지는 상황에 대해 과도한 걱정과 불안을 보이는 경우, 아이들도 불안을 느끼고 분리불안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2. 일관되지 않은 분리 경험: 아이가 일관된 분리 경험을 겪지 못하거나 일관성이 부족한 경우, 분리불안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부모나 돌봄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일관된 방식으로 분리를 관리하고, 아이들이 안전하다는 신뢰를 갖도록 도움이 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가정 내 갈등과 불안한 분위기: 가정 내에서 갈등이 빈번하거나 불안한 분위기가 지속되는 경우, 아이들의 분리불안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안정된 가정 분위기와 사랑과 관심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과도한 의존: 아이들이 과도하게 가족 구성원에 의존하고, 분리에 대한 자립심이 부족한 경우, 분리불안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회를 가지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부정적인 분리 경험: 과거에 부정적인 분리 경험을 한 경우(예: 가족 구성원의 갑작스러운 이탈, 장기적인 부재), 아이들은 분리에 대한 불안을 갖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부정적인 경험을 바로잡고, 안전하고 예측 가능한 분리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분리불안을 극복하는 방법

  1. 예비 훈련 (Preparation): 분리 상황에 미리 대비하여 아이에게 분리 경험을 줄 수 있는 예비 훈련을 시도해 보세요. 예를 들어, 부모나 돌봄을 담당하는 사람이 일시적으로 떠나는 시간을 조금씩 늘려가며 아이가 분리에 대한 안전함과 자립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2. 일관성 있는 분리 경험 제공: 아이들이 일관된 분리 경험을 겪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분리 시간을 일정하게 조정하고, 일관된 루틴과 규칙을 제공하여 아이가 안전하고 예측 가능한 환경을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3. 안전한 환경 제공: 아이들이 분리 상황에서 안전하다는 느낌을 가지도록 환경을 조성해줍니다. 안전한 장난감이나 활동을 제공하고, 필요한 지원과 안정감을 제공하여 아이들이 스트레스를 덜 느끼도록 도와줍니다.
  4. 긍정적인 강화: 아이가 분리 상황에서 잘 대처하고 자신감을 갖도록 행동을 칭찬하고 긍정적인 강화를 제공합니다. 성공적인 분리 경험을 축하하고 아이의 자립성을 격려합니다.
  5. 안정적인 가정 환경: 가정에서 안정적인 분위기와 믿음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나 가족 구성원 사이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아이들이 안전하고 사랑받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6. 전문적인 도움: 심각한 분리불안이 있는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심리치료사나 상담사와 협력하여 아이의 불안을 다루고 적절한 대처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