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말을 함부로 하는 아이 특징
- 무분별한 발언: 말을 함부로 하는 아이는 자신의 생각을 제어하지 않고 말하거나 다른 사람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발언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상황에 따라 적절하지 않은 발언을 할 수 있습니다.
- 타인 비판과 희화적 발언: 말을 함부로 하는 아이는 타인을 비판하거나 조롱하는 발언을 자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욕설이나 무례한 말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자기 표현 능력 부족: 말을 함부로 하는 아이는 자신의 감정이나 의견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말을 함부로 하여 자신을 표현하려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 주변 환경 영향: 주변 환경에서 말을 함부로 하는 양식이 허용되거나 흔한 경우, 아이도 그런 양식을 따라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자기주장 강함: 말을 함부로 하는 아이는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강하게 내세우려 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논란이나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사회적인 기대와 불일치: 아이들은 사회적인 규칙과 예절을 배워야 하지만, 그러한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무시하는 경우에는 말을 함부로 하게 될 수 있습니다.
+ 말을 함부로 하는 아이가 되는 이유
- 모델링: 주변 환경에서 말을 함부로 하는 양식이 일상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아이는 그런 행동을 모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족이나 친구들이 말을 함부로 하거나 갈등을 통해 대화하는 모습을 보면서 아이도 그런 습관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 감정 조절 미숙: 아이들은 감정을 조절하고 적절한 대화 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을 거칩니다. 감정을 제어하지 못하고 무분별하게 발언하는 경우, 말을 함부로 할 수 있습니다.
- 자기 표현 부족: 말을 함부로 하는 아이는 때때로 자신의 의견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려는 목적으로 말을 함부로 할 수 있습니다.
- 반응을 얻는 수단: 아이들은 주변 사람들의 관심을 얻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시도합니다. 때로는 말을 함부로 하거나 충격적인 발언을 통해 주목을 받으려 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경험 부족: 아이들은 사회적인 상황에서 어떤 행동이 적절하고 어떤 행동이 부적절한지를 배우는데 시간이 필요합니다. 아직 사회 규칙과 예절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말을 함부로 할 수 있습니다.
- 자기주장 강함: 말을 함부로 하는 아이는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강하게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른 사람과의 대화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말을 함부로 하는 아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
- 예절과 존중 가르치기: 아이에게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생각하며 말하고 행동하는 방법을 함께 이야기해주세요.
- 올바른 대화 습관 가르치기: 아이가 어떻게 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세요. 대화를 나눌 때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공손하게 의견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 감정 조절과 표현 교육: 아이가 감정을 제어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감정을 공유하면서 논리적인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 모범을 보여주기: 부모나 성인의 행동이 아이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존중하고 책임감 있게 대화하는 모습을 아이에게 보여줘서 모범을 따라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자기표현을 존중하며 지원: 아이의 의견이나 감정을 소중하게 여기며, 자기 표현의 중요성을 강조해주세요. 그러나 그 의견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어떤 방식으로 표현해야 하는지 함께 고민하고 알려줄 수 있습니다.
- 문제 해결과 대화 스킬 교육: 아이가 갈등 상황이나 문제 상황을 대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주세요. 문제 상황을 대화로 해결하는 방법을 습득하면서 말을 함부로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말하는 시간을 제한하거나 관리: 아이의 말하는 시간을 제한하여 길고 무분별한 대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의 관심사와 의견을 주목하며 대화를 이끌어 나가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 포지티브 리인포스먼트: 아이가 존중하고 배려하는 대화를 나눴을 때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주세요. 이렇게 하면 아이는 적절한 대화 습관을 갖추려 노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
'교육 > 교육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관을 잘 기르지 못하는 아이와 좋은 습관을 기르는 아이로 키우기 위한 방법 (0) | 2023.08.15 |
---|---|
경솔한 아이와 적절한 교육 (0) | 2023.08.14 |
인사를 잘하지 않는 아이가 되는 이유와 인사 교육 (0) | 2023.08.12 |
창의성있는 아이의 특징과 창의성있는 아이로 기르는 방법 (0) | 2023.08.11 |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아이의 특징과 교육법 (0) | 2023.08.09 |
댓글